1다음은 조선 시대에 제작된 세계 지도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당시 사람들의 문화 이해의 태도는?

2비교론적 관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다음 대화에서 ‘을’이 가지고 있는 문화 인식 태도는?
갑 : 티베트에서는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시신을 들판에 버려 새들이 먹게 한다는데, 정말 불효막심한 행동이라고 생각해.
을 : 티베트의 장례 문화를 우리의 기준으로 평가해서는 안 돼. 티베트는 기온이 낮아서 땅을 파서 시신을 묻는 것이 쉽지 않고, 시신을 먹은 새들이 하늘로 날아가면 죽은 사람의 영혼도 하늘로 올라갈 수 있다는 종교적 믿음 때문에 그런 장례 문화가 생긴 거야.
4다음과 같은 문화 이해 태도를 가진 사람에게 해 줄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어떠한 문화 현상이든지 모두 나름대로의 의미와 가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명예 살인을 한 사람도 나름의 이유가 있을 것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타당성을 인정해야 한다.
5문화를 이해하는 바람직한 태도를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 다른 사회의 문화를 대할 때에는 그 사회의 독특한 환경과 역사적 맥락에서 이해해야 한다.
㉡ 한 사회의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사회의 생활을 전체적인 맥락에서 바라보아야 한다.
㉢ 사회마다 나름대로 가치 있는 문화를 가지고 있으므로 차이점을 비교해 보는 자세를 삼가야 한다.
㉣ 문화 교류를 통해 자기 문화의 부족한 점은 보완하고 다른 문화의 좋은 점은 받아들이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6다음 두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문화 이해의 태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


▲ 한글 창제에 반대하는 최만리의 상소문 ▲ 중국을 중심으로 그린 우리나라 최초 세계 지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