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그림을 통해 알 수 있는 민주 선거의 원칙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가) (나)






2선거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민주주의 학교라 불린다.
ㄴ. 민주 정치의 성공 여부가 결정된다.
ㄷ. 정책 결정에 참여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3다음과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제도를 쓰시오.

1812년 미국의 매사추세츠 주의 주지사 게리는 자기 정당 소속 정치인이 당선될 수 있도록 지역의 정당 지지 성향을 고려해 선거구를 정했다. 그 결과 선거구의 모양이 옆 그림과 같이 기형적인 형태를 띠었는데, 이 모양이 샐러맨더와 같다고 하여 반대당에서 야유하고 비난한데서 유래하였다.

4선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가), (나)에 해당하는 선거의 원칙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가) 우리나라에서는 만 19세 이상이면 누구나 투표를 할 수 있는 원칙으로 제한 선거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근대 초기에는 대개 제한 선거 제도를 택하고 있었으나 민주주의가 발달한 현대에 와서는 거의 예외 없이 인정하고 있다.
(나) 모든 유권자에게 동등하게 1인 1표의 투표권을 인정한다. 재산․납세․교육 등에 의해서 선거권의 효과에 차등을 두는 제도인 차등 선거와 구별된다.
6다음과 같은 문제의 발생을 막기 위한 제도로 옳은 것은?
충청북도 보은․옥천․영동은 제헌 국회 이후 여섯 차례나 선거구를 떼었다 붙였다 하여, 한국판 게리맨더링의 대표 사례로 뽑힌다. 2010년 지방 선거에서는 울산과 고양에서 한 동네를 다른 선거구로 갈라놓아 말썽을 빚기도 하였다.
7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우리나라 선거 제도의 명칭을 쓰고, 그 의미를 서술하시오.

선거구를 통폐합하거나 분할하는 것은 매우 민감한 문제이기 때문에 인구 변화, 지역 사회의 여건, 교통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신중하면서도 공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특정 정당이나 특정 후보에게 유리하게 선거구를 함부로 변경시킬 수 없도록 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