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시의 화자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3점)
※[2-7] 다음 작품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 빛
뒷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나) 할머니, 살구나무가
많이 아픈가 봐요.
살구꽃 이파리 깜박깜박
저렇게 떨어지는데
우두커니 먼 산만 바라봐요.
흰 머리카락 올올이 풀어져도
빗을 생각을 안 해요.
참빗을 어디 두었는지
잊어 먹었나 봐요.
할머니, 살구나무가
할머니처럼 아픈가 봐요.
- 안도현, ‘살구꽃 지는 날’
(다) ㉠나는 나룻배.
당신은 행인.
당신은 흙발로 나를 짓밟습니다.
나는 당신을 안고 물을 건너갑니다.
나는 당신을 안으면 깊으나 얕으나 급한 여울 이나 건너갑니다.
만일 당신이 아니 오시면, 나는 바람을 쐬고
눈비를 맞으며 밤에서 낮까지 당신을 기다 리고 있습니다.
당신은 물만 건너면 나를 돌아보지도 않고 가십니다그려.
그러나 당신이 언제든지 오실 줄만은 알아요.
나는 당신을 기다리면서 날마다 날마다 낡아 갑니다.
나는 나룻배.
당신은 행인.
- 한용운, ‘나룻배와 행인’
2. (가)와 (나)의 공통점으로 알맞은 것을 모두 고르시 오. (3점)
ⓐ 시의 화자를 어린아이로 설정하였다.
ⓑ 각운을 사용하여 운율을 형성하였다.
ⓒ 시적 화자의 소망을 간절히 드러내었다.
ⓓ 시의 처음과 끝에 같은 내용을 반복하였다.
ⓔ 사람이 아닌 대상을 사람에 빗대어 표현하였다.
ⓕ 유추의 방법을 통해 시적 대상의 시련을 나 타내었다.
3(다)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4(다) 시의 말하는 이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4점)
6다음 중 (다)의 ㉠에 쓰인 표현방법이 나타난 것 은? (4점)
7. (다) 시에서 화자가 겪고 있는 시련을 의미하는 시어 를 2개 이상 찾아 쓰시오. (3점)
※[8-16]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동기(同氣)로 세 몸 되어 한 몸같이 지내다가
두 아운 어디 가서 돌아올 줄 모르는고.
날마다 석양(夕陽) 문외(門外)에 한숨 겨워하 노라.
- 박인로 시조
(나) 열무 삼십 단을 이고
시장에 간 우리 엄마
안 오시네, 해는 시든 지 오래
나는 찬밥처럼 방에 담겨
아무리 천천히 숙제를 해도
엄마 안 오시네, 배춧잎 같은 발소리 타박타박
안 들리네, 어둡고 무서워
금간 창틈으로 고요한 빗소리
빈방에 혼자 엎드려 훌쩍거리던
아주 먼 옛날
지금도 내 눈시울을 뜨겁게 하는
그 시절, 내 유년의 윗목
- 기형도, ‘엄마 걱정’
(다)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는
버리고 가시리잇고 나는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盛大)
㉡날러는 어찌 살라 하고
버리고 가시리잇고 나는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盛大)
㉢잡사와 두어리마나는
선하면 아니 올세라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盛大)
㉣설온 님 보내옵나니 나는
㉤가시는 듯 돌아오소서 나는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盛大)
- 고려가요, ‘가시리’
8(가)~(다)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상황을 쓰시오. (3점)
9(가)의 시적 화자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 은? (정답 2개) (3점)
10(가) 시에 사용된 표현 방법으로 알맞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3점)
ⓐ 직유법 ⓑ 은유법 ⓒ 설의법
ⓓ 영탄법 ⓔ 의인법 ⓕ 대구법
11다음 중 시조의 특징이 아닌 것은? (3점)
12(나) 시의 말하는 이에 대해 추측한 내용으로 알 맞지 않은 것은? (3점)
13(나)에서 ‘안 오시네, 안 들리네’와 같이 부정적인 말을 반복하여 씀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로 가 장 적절한 것은? (3점)
14(다) 시의 화자의 심리 변화를 바르게 연결한 것 은? (3점)
15다음 중, (다) 시의 화자가 의 화자에게 해 줄 수 있는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훨훨 나는 저 꾀꼬리는 / 암수 정답게 노니는데, 외로운 이 내 몸은 / 누구와 함께 돌아갈까.
- ‘황조가’, 유리왕 -
16㉠~㉤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3점)
※[17-21]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자아, 동생, 이거 우리 오늘이 력사적인 형제 상봉의 날이 아니웨까. 한잔 쭉 들이키자우요.” “아이고, 형님 말씀 놓으십쇼.” 그날은 아저씨의 연변 이야기, 아니 랴오닝 성 이 야기, 큰할아버지 이야기, 아저씨의 중국 생활 이야 기, 아저씨의 외갓집 이야기, 이북에 살고 있다는 아저씨의 외삼촌 이야기, 아저씨가 한국에 들어와 산 이야기를 듣느라 온 식구가 꼼짝도 못하고 지나 가 버렸다. 아저씨는 말하자면 한국에 돈을 벌러 온 ‘조선족’이주 노동자인 것이다.
(나) 시키지도 않았는데 아침에 일어나 아버지가 평 소에 우사 입구에 걸어 놓는 아버지의 작업복을 입 고서 우사로 가더니 소먹이를 준다, 바닥을 청소한 다, 과수원에 거름을 낸다, 분주하게 돌아치는 것이 었다. 그리고 다음 날도, 그다음 날도 아저씨는 아 버지를 따라다니며 혹은 혼자서 마치 우리 집 일꾼 으로 들어온 사람처럼 구는 것이었다. 밥때가 되면, 마당을 들어서며 “제수씨 밥 안 줍네까? 뱃가죽이 아주 등가죽에 가 붙었습네다.”라고 우렁우렁하게 소리를 치는 것이었다.
(다) “엄마, 저 아저씨 언제 간대요?” “낸들 아니?” 그러고 보니 엄마도 답답하기는 마찬가지인 것 같았다. 엄마를 답답하게 하는 것은 사실 내가 느끼 는 답답함보다도 더 심각한 것이었다. “원, 아무리 일가래도 저건 몰상식이야.” “맞아, 몰상식.” “아무리 일가래도 엄연히 손님으로 와 놓구선 날 마다 술을 달래지 않나, 옷을 빨아 달래지 않나.” “맞아, 아무리 일가래도.”
(라) “여보, 뭐해. 술 내오잖고.” 아버지는 사실 술도 못 마시면서 순전히 아저씨 때문에 술을 가지러 온 것이다. “당신 아들 좀 보소. 여자애한테서 온 편지 찾는 다고 눈에 불이 붙었소.” “아, 드디어 편지가 오긴 왔구나. 축하한다야.” “편지가 오면 뭐해요. 엄마가 뺏어 가서 돌려주지 않는걸.” “뭐야? 여보, 당신 왜 그래? 창이한테 온 편지를 왜 당신이 가져?” “그걸 몰라서 물어요? 지금 쟤 나이가 몇 살이야? 이제 겨우 열여섯 살짜리한테 무슨 놈의 연애편지 야? 딱 사 년만 참아라. 스무 살만 되면 그때부터는 연애편지가 아니라, 누구하고 연애를 하든 결혼을 하든, 내가 간섭하지 않을 테니.” “여보, 당신 이제 보니 참 야만인이군그래. 아니, 어떻게 자식한테 온 편지를 갈취해?” “가, 갈취? 당신 지금 나보고 갈취했다고 했어요?” “그럼 그것이 갈취한 것이 아니고 뭐야?”
(마) 나는 알고 있었다. 사실 엄마, 아버지가 저렇게 대립할 수밖에 없는 밑바닥 감정에는 분명 아저씨 의 존재가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그러나 엄마도, 아버지도 아저씨에 대한 말은 입 끝에도 올리지 않 았다. 그 이유는 아저씨가 바로 지척에 있는 우사에 서 거름을 내는 척하면서 집 안의 상황에 낱낱이 귀를 기울이고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바) 그때, 일가라는 사람이 있었지. 중국에서 온 아 저씨, 나의 당숙. 나는 왜 그를 까맣게 잊고 있었던 것일까. 그러나 나는 맹세코 아저씨를 한 번도 잊은 적이 없다. 내가 아저씨를 잊었다면 지금 이 순간 왜 그를 생각하고 눈물이 난단 말인가.
아침에 밥을 먹으면서 나는 아버지한테 물었다. “아버지, 일가라는 분요.” “누구?” “아니, 아버지도 잊으셨어요?” “아, 그 형님 말이야?” “네. 지금도 연락하시나요?” “글쎄다. 워낙에 형님들이 많아서 말이지.” “그런데, 아버지, 정말 그분이 아버지 사촌 형님 이 맞아요?” “이 세상에 사촌 아닌 사람이 어디 있니?”
- 공선옥, ‘일가’
17이 글의 서술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5점)
18이 소설의 중심 소재이면서 ‘아저씨’에 대한 가족 들의 태도를 비판하는 반어적인 의미를 담은 단 어를 본문에서 찾아 쓰시오. (3점)
20이 글의 서술자를 청소년인 ‘나’로 설정한 이유를 서술하시오. (3점)
⑴ 이 소설의 주제를 언급할 것
⑵ 이 소설의 화자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제시할 것
⑶ ‘~위해서이다.’의 형식으로 서술할 것
21아저씨에 대한 ‘나’의 생각 변화가 알맞게 짝지어 진 것은? (3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