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건국 초기, 지도와 같이 수도를 천도한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2고구려의 성장과 관련된 <보기>의 내용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3점)
<보 기>
ㄱ. 전연의 침입
ㄴ. 낙랑군을 몰아냄
ㄷ. 옥저와 동예 정복
ㄹ. 왕위의 부자 상속
3아래와 관련 있는 고구려 왕이 유교 교육을 위해 설치한 기관을 쓰시오. (3점)
• 체제 정비를 위한 율령 반포
• 중국의 전진과 외교 관계 수립
• 다양한 신앙 통합을 위해 불교 수용
4삼국의 영역이 지도와 같았을 때, 백제에서 발생한 사실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4점)

<보 기>
ㄱ. 왕위의 부자 상속
ㄴ. 동진에서 불교 수용
ㄷ. 한성으로 수도 이동
ㄹ. 마한의 남은 세력 정복
5다음 글을 읽고 추론할 수 있는 결론으로 옳은 것은? (4점)
주몽의 아들 유리가 졸본으로 주몽을 찾아오자 비류와 온조 형제는 남쪽으로 무리를 이끌고 내려왔다. 형 비류는 미추홀에, 온조는 위례성에 도읍을 정하고 나라를 세웠다. 이후 비류의 세력이 온조를 따르게 되자 나라를 백제라 하였다. 국왕이 고구려와 같이 부여에서 나왔다 하여 부여를 성으로 삼았다.
- 삼국사기(三國史記) -
6백제의 발전에 관한 연표에서 (가) 시기에 들어갈 수 있는 내용은? (3점)

7신라 왕호 변천 과정을 나타낸 표에서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8신라 지역에서 출토된 사진의 유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9다음 건국 설화가 있는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점)
시조는 성이 박씨이고 이름은 혁거세이다. …… 말은 간데없고 큰 알만 있었다. 알을 깨어보니 어린 아이가 나와 거두어 길렀다. …… 마을 사람들은 비범하게 태어난 아이라고 여겨 임금으로 모셨다.
10제시된 인물들의 공통점으로 옳은 것은? (3점)
• 태조왕 • 내물왕 • 근초고왕
11다음 글과 관련된 제도가 삼국시대 각국에 존재했던 점에서 알 수 있는 사실은? (3점)
호암사에는 정사암이란 바위가 있다. 국가에서 재상을 뽑을 때 후보 3, 4명의 이름을 써서 상장에 넣고 봉하여 바위 위에 두었다가, 얼마 후 그 이름 위에 도장이 찍혀 있는 사람을 재상으로 삼았다. 그런 까닭에 정사암이라 하였다.
-삼국유사-
12백제 역사에 대한 연표에서 (가)에 해당하는 시기에 발생한 것은? (3점)

14사진의 유적을 바탕으로 조사할 수 있는 주제가 아닌 것은? (3점)

15제시된 자료와 관련된 왕의 업적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3점)

왕이 군사 3만을 거느리고 백제를 침공하여 백제의 도읍지 한성을 점령한 후, 백제왕을 죽이고 남녀 8천 명을 생포하여 돌아왔다.
- 삼국사기 -
<보 기>
ㄱ. 불교 수용 ㄴ. 평양 천도
ㄷ. 화랑도 정비 ㄹ. 한강 유역 장악

16삼국의 영역이 지도와 같았을 때에 해당하는 사실은? (3점)

17다음과 같은 업적을 남긴 왕은? (3점)
• 대가야를 정복하였다.
• ‘개국’이라는 연호를 사용했다.
• 백제가 탈환했던 한강 하류 유역을 빼앗았다.
• 함경도 동남쪽의 원산만 이북까지 진출하였다.
186세기 신라의 영역이 지도와 같았음을 알려주는 사료는? (3점)



19다음 글의 왕 시기에 발생한 변화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4점)
신하들이 ‘신(新)’이라는 글자는 덕업이 날로 새로워진다는 뜻이고 ‘라(羅)’라는 글자는 사방을 망라한다는 뜻이라 하여 나라 이름으로 권하니 왕이 그대로 따랐다.
-『삼국사기』-
<보 기>
ㄱ. ‘건원’이라는 연호 사용
ㄴ. 현재의 울릉도 일대를 정복
ㄷ. 화랑도를 국가적 조직으로 개편
ㄹ. ‘마립간’ 대신 ‘왕’이라는 호칭 사용
20신문 기사에서 나타난 사건 이후 가야에서 발생했던 사실은? (3점)

21가야가 중앙집권국가로 발전하지 못하고 멸망한 이유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3점)
<보 기>
ㄱ. 가용 자원의 부족
ㄴ. 백제와 신라의 침입
ㄷ. 늦은 철기 문화 보급
ㄹ. 연맹 소국의 독자적 세력 유지
22(가)~(다)는 삼국시대의 시기별 지도이다. 시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3점)

23다음 글에서 등장하는 학문을 육성하기 위해 삼국시대에 실시된 정책으로 옳은 것은? (3점)
두 사람이 함께 맹세하여 쓴다. 충성의 도리를 지키고 잘못이 없기를 하늘에 맹세한다. 만약 약속을 어기면 하늘로부터 큰 벌을 받을 것을 맹세한다. ……(중략) 시, 상서, 예기, 춘추 등의 유교 경전을 3년 안에 차례로 공부하여 익히기를 맹세한다.
-임신서기석-
24신라에서 사진과 같은 유적이 건축된 배경에 대해 쓰여진 글의 빈 칸을 채우시오. (4점)

하늘에서 일어나는 특별한 현상(일식, 월식 등)이나 기상 이변들은 왕의 권위와 관련된 것이었다. 그래서 옛날 사람들은 왕의 권위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을/를 중시하였다.

25사진의 유물들을 통해서 파악할 수 있는 문화적 측면의 변화는? (4점)

26삼국시대의 종교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3점)
27삼국시대의 각국이 다음의 기록을 남긴 목적은?
(4점)
• 고구려 – 이문진의 『신집』
• 백 제 – 고흥의 『서기』
• 신 라 – 거칠부의 『국사』
28아래 벽화들을 통해 추출할 수 있는 결론으로 옳은 것은? (3점)

29다음 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